IT 정리용 블로그!

[단계별로 풀어보기-5 1차원 배열 단계] 10818,2562,2577,3052,1546,8958,4344 본문

Baek Joon

[단계별로 풀어보기-5 1차원 배열 단계] 10818,2562,2577,3052,1546,8958,4344

집가고시퍼 2022. 1. 6. 23:02
  • [10818]
    Q :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N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. 첫째 줄에 주어진 정수 N개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해라

    A :


  • [2562]
    Q : 첫째 줄부터 아홉번째 줄까지 한 줄에 하나의 자연수가 주어진다. 첫째 줄에 최댓값을 출력하고, 둘째 줄에 최댓값이 몇번째 수인지를 출력해라

    A :
    list.index()를 사용하면 해당 원소가 있는 index를 알 수 있다. 이 문제에서는 1번 부터 count를 시작하므로 1을 더해준다.


  • [2577]
    Q : 첫 줄에  A, 둘째 줄에 B, 셋째 줄에 C가 주어진다. 150*266*427 = 17037300이면 17037300에는 0이 3번, 1이 1번, 3이 2번.. 쓰였다. 첫째 줄부터 열째 줄까지 0이 몇번 쓰였는지, 1이 몇번 쓰였는지..., 9가 몇번 쓰였는지를 줄을 바꾸어 출력해라

    A :
    list.count()는 count함수 안에 들어가는 것이 list 안에 몇 번 등장하는지 세준다.


  • [3052]
    Q : 첫째 줄부터 열째 줄까지 숫자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. 이 수들을 42로 나누었을 때, 서로 다른 나머지가 몇 개 있는지 출력해라.

    A :
    set 자료형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, 순서가 없다. 때문에 set은 자료형의 중복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 사용된다.


  • [1546]
    Q : 첫 줄에 시험 본 과목의 수 N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과목들의 성적이 공백을 두고 주어진다. 이 점수들 중 최댓값을 M이라 하면, 모든 점수를 점수/M*100으로 고쳤다. 이 방법대로 했을 때 새로운 점수들의 평균을 구해라

    A :
    list의 평균을 출력하는 함수는 없지만, sum(list)를 하면 list의 원소들의 합을 출력한다. 그것을 list의 길이로 나눈다.


  • [8958]
    Q : OXOOX... 같은 퀴즈 결과가 있다. O는 문제를 맞은 것이고, X는 틀린 거싱다. 맞은 경우, 그 문제의 점수는 그 문제까지 연속된 O의 개수가 된다.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라
    입력으로는 첫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, 길이가 다르다. 각 테스트케이스마다 줄을 바꿔 점수를 출력해라

    A :
    혹은 tmp의 초기값을 1로 설정해 주면 8번 line을 뺄 수 있다.


  • [4344]
    Q :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수 C가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학생의 수 N이 첫 수로 주어지고, 이어서 N명의 점수가 주어진다. 각 케이스마다 한 줄씩 평균을 넘는 학생의 비율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출력해라.

    A :
    5번 line같이 sum은 list의 1번 이후 원소들에 대해서만 실행 가능하다.
    그리고 9번처럼 써주면, 일일이 numlist[j]로 쓰지 않아도 된다. 단, 이렇게 쓰면 인덱스는 참고하지 못한다. j에는 numlist의 각 원소들이 들어간다.
    13번 줄처럼 써주면 출력이 가능하나, print(f'{ratio:.3f}%')로도 출력 가능하다. fprint를 사용하는 것인데, 미리 ratio를 계산해두면 깔끔히 쓸 수 있다.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