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Contrastive Domain Discrepancy
- CodeUp6011
- CVPR2021
- Vision Transformer
- Maximum Mean Discrepancy
- Domain Adaptation
- Consistency Regularization
- CodeUp6012
- Computer Vision
- Class Aware Sampling
- ViT
- CodeUp6014
- CodeUp6015
- CodeUp6016
- CodeUp
- transformer
- Attention
- Pseudo Label
- ICLR2021
- Semi Supervised Learning
- ComputerVision
- 비전공자를 위한 HTML/CSS
- CodeUp6013
- 코드업
- Feature Augmentation
-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
- Python
- 백준
- Segmentation Map
- Baekjoon
목록CodeUp (14)
IT 정리용 블로그!

[6092] Q : 출석번호를 n번 무작위로 불렀을때, 1~23번의 각 번호가 불린 횟수를 출력해보자. 첫 줄에는 출석번호를 부른 횟수인 정수 n이 입력된다. 둘째 줄에는 무작위로 부른 n개의 번호(1~23)가 공백을 두고 순서대로 입력된다. 1번부터 번호가 불린 횟수를 순서대로 공백으로 구분하여 한줄로 출력해라 A :numlist에는 그냥 chr 형태로 원소를 넣어주고, 9번 line에 이를 int로 바꿔준다. 혹은 처음부터 numlist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으로 넣어줘도 된다. 2번 줄에서 미리 list를 만들어 둘 필요는 없고, 그냥 띄어쓰기로 입력된 chr들은 자동적으로 numlist[0], numlist[1],..에 저장된다. [6093] Q : 번호를 부른..

[6077] Q : 정수 1개가 입력된다. 1부터 그 수까지 짝수만 합해 출력해라. A :for i in ragne(1,a+1)으로 쓰면 1~a까지의 수에 대해 판단할 수 있지만, 여기선 0을 더해도 상관 없으므로 괜찮다. [6078] Q : 문자들이 1개씩 계속해서 입력된다. 영문 소문자 q가 입력될 때까지 입력한 문자를 계속 줄을 바꿔 출력한다(q까지 출력). A : [6079] Q : 정수 1개가 입력된다. 1,2,3,...을 순서대로 계속 더해 합을 만들어가다가, 입력된 정수와 같거나 커졌을 때, 마지막에 더한 정수를 출력한다. A :애초에 n=0으로 시작시키고 6번 줄과 7번 줄의 순서를 바꾸면 9번 줄에서 print(n)으로 써도 된다. n+=1을 먼저 하고 sum+=n을 한다는 것은 해당 s..

[6071] Q : 임의의 정수가 줄을 바꿔 계속 입력된다(단, 개수는 알 수 없다). 입력된 정수를 줄을 바꿔 하나씩 출력하는데, 0이 입력되면 종료한다. A :사실 else는 굳이 안써줘도 된다. [6072] Q : 1~100의 정수 1개가 입력된다. 그 수부터 1씩 줄이면서 한 줄에 1개씩 카운트다운을 출력해라(1까지). A :파이썬에는 --나 ++가 없다. 대신 +=, -=를 사용해야 한다. [6073] Q : 1~100의 정수 1개가 입력된다. 그 수보다 1작은 수부터 1씩 줄이면서 한 줄에 1개씩 카운트다운을 출력해라(0까지). A : [6074] Q : a~z의 영문자 1개가 입력된다. a부터 입력한 문자까지 순서대로 공백을 두고 한 줄로 출력해라. A :공백을 두고 한 줄로 출력해야 하기 ..

[6065] Q : 3개의 정수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. 짝수만 순서대로 줄을 바꿔 출력하라 A : [6066] Q : 3개의 정수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. 입력된 순서대로 even/odd를 줄을 바꿔 출력한다. A : [6067] Q : 정수 1개가 입력된다. 단,0은 입력되지 않는다. 음수이면서 짝수이면 A, 음수이면서 홀수이면 B, 양수이면서 짝수이면 C, 양수이면서 홀수이면 D를 출력한다. A : [6068] Q : 0~100 범위의 정수 1개가 입력된다. 90~100이면 A, 70~89면 B, 40~69면 C, 0~39면 D를 출력하라. A :파이썬에서는 else if 대신 elif를 사용한다. 그리고 B의 경우 이미 90미만이라는 조건이 만족된 것들이므로 상한 조건을 언급해 주지 않아도 된다...

[6063] Q : 두 정수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. 두 정수 중 큰 값을 10진수로 출력하라 A : if else 문으로 별도로 print를 안써줘도 한 번에 출력이 가능하다. [6064] Q : 3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.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라 A : if, else if문으로 각 경우에 대해 별도로 출력해도 되지만, min을 사용하면 가장 작은 값을 바로 구할 수 있다.

[6059] Q : 정수 1개가 입력된다(-2147483648 ~ +2147483647). 비트 단위로 1->0, 0->1로 바꾼 후 그 값을 10진수로 출력해라. A :컴퓨터에서 모든 데이터는 2진수 형태로 바꾸어 저장된다. ~를 쓰면 2진수의 0은 1로, 1은 0으로 바꾼다. 이를 1's complement라고 하며, ~n=-n-1이다. ~2=-2-1=-3이다. 2's complement는 ~n+1=(-n-1)+1=-n이다. 모든 비트를 반대로 뒤집고 1을 더한 것이다. [6060] Q : 정수 2개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(-2147483648 ~ +2147483647). 두 정수를 비트단위로 and계산한 결과를 10진수로 출력한다. A :예를 들어 3과 5가 입력되었을 때를 살펴보면 3 : 0000..

[6052] Q : 정수 1개가 입력된다. 입력된 값이 0이면 False, 0이 아니면 True를 출력한다. A :print(a!=0)으로 해도 되지만, 0을 비교하는 특수한 조건에서는 bool을 사용할 수 있음. [6053] Q : 정수 1개가 입력된다. 입력된 정수의 불값이 false면 true, true면 false를 출력한다. A :bool 값을 뒤집을땐 not을 쓰면 된다. 그리고 애초에 a=bool(int(input()))으로 써도 된다. [6054] Q : 2개의 정수가 공백을 두고 입력도니다. 둘 다 True일 경우에만 True를 출력하고, 그 외의 경우에는 False를 출력한다. A :이렇게 풀지 말고, a,b=map(~~)으로 받은 뒤 print(bool(a) and bool(b))로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