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 : 입력이 숫자라고 정수로 취급되는 것은 아니다. 정수로 취급하려면 int()에 넣어줘야 한다.
[6026] Q : 2개의 실수가 줄을 바꿔 입력된다. 두 실수의 합을 출력하라.
A :a,b를 input으로 받을 때 a,b = input().split('\n')으로 시도해 보았으나 되지 않았다.
[6029] Q : 16진수 정수 1개가 입력된다. 8진수 형태로 출력하라.
A : int(a,16)은 a를 16진수로 인식하게 해준다. print('%o'%n)은 n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octal 형태 문자열로 출력한다.
[6030] Q : 유니코드 영문자 1개가 입력된다. 유니코드 값을 10진수로 출력하라.
A : ord(input())은 입력받은 문자를 10진수 유니코드 값으로 변환한다. ord()는 어떤 문자의 순서위치를 의미한다. 실제로 각 문자들에는 연속된 정수 값이 순서에 따라 부여되어 있다(A:65,B:66,...). 그래서 ord(c)는 문자 c를 10진수로 변환한 값을 의미한다. 유니코드는 컴퓨터에 문자를 저장하는 한 방식으로, 아스키코드와 유니코드가 사용된다. 'A'는 10진수 값 65로 표현하고, 2진수 값 10000001로 바꾸어 컴퓨터에 저장한다.
[6031] Q : 10진 정수 1개(32~126 범위)가 입력된다. 이를 유니코드 문자로 출력하라.
A : 입력은 기본적으로 모두 문자열로 입력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. 따라서 입력 값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문자/문자열/정수/실수인지에 따라 정확히 변환시킨 다음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. chr()는 정수값을 문자로 바꿔준다. ord()는 문자를 정수값으로 바꿔준다. 서로 반대 기능을 하는 함수이다.
[6042] Q : 실수 1개가 입력되면 소숫점 이하 두번째 자리까지 반올림한 값을 출력해라.